第1章 韓國語 漢字語 쓰임의 樣相 1. 서론 2. 조사 대상 및 분석 방법 2.1 조사 대상 2.2 연구 방법 3. 부류별로 보는 문법적인 특징 3.1 [+N] 3.2 [+ADN] 3.3 [+V] 3.4 [+V/N] 3.5 [+ADJ] 3.6 [+ADJ/N] 3.7 [+ADJ/ADN] 3.8 [+ADJ/ADV] 3.9 [+ADJ/ADV/N] 3.10 [+ADJ/ADV/ADN] 3.11 [+ADJ/V/N] 3.12 [+ADV] 3.13 [+ADV/N] 3.14 [+ADV/ADN] 3.15 한국어 한자어의 유형 및 어휘수 4. 쓰임의 양상의 특징 4.1 다품사적 4.2 유동적 5. 결론
第2章 韓‧中 同形語 쓰임 異同 硏究 1. 서론 2. 선행 연구 3. 조사 자료 및 방법 3.1 한자어의 조사 대상 3.2 한자어 쓰임의 판단 기준 3.3 중국어 쓰임의 판단 기준 3.4 한자어 쓰임의 양상 4.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쓰임의 양상 4.1 [+N]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2 [+V/N]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3 [+ADJ/N]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4 [+ADV]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5 [+ADN]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6 [+ADJ/ADV]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7 [+ADV/N]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8 [+V]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4.9 [+ADJ] 한자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5. 한중 동형어 쓰임의 불일치 현상 5.1 기능 5.2 의미 5.3 자립성의 유무 5.4 품사 전성법 5.5 품사 체계 및 분류 기준 6. 결론
第3章 漢字語와 ‘이다’ ‘하다’ 結合 樣相 1. 서론 2. 연구 자료 및 방법 3. 선행 연구 3.1 한자어 연구 3.2 명사 연구 3.3 ‘이다’ 연구 4. 서술어 형태 4.1 ‘이다’ 혹은 ‘하다’ 어느 한 쪽만 결합 가능한 한자어 4.2 ‘하다’와 ‘이다’ 양쪽 다 결합 가능한 한자어 4.3 서술어 형태의 유형 5. ‘동사적/형용사적 어근+이다’ 문장의 특징 5.1 어근의 어휘적인 의미 5.2 ‘이다’구문 6. 품사성과 서술어 형태 유형 6.1 동사적 어근 6.2 형용사적 어근 6.3 품사의 연속성 및 서술어 형태 유형 7. 결론
第4章 漢字語 接尾辭 ‘-的’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연구 대상 2.1 선행요소 2.2 ‘-的’의 기능 2.3 ‘-的’의 의미 2.4 ‘-的’파생어의 문법 범주 2.5 연구 대상 3. 선행요소별로 보는 ‘-的’ 3.1 명사+的 3.2 동사적 어근 +的 3.3 형용사적 어근 +的 3.4 부사(적 어근) +的 3.5 관형사 +的 4. ‘-的’의 의미 기능 5. ‘-的’파생어의 쓰임 6. 결론
第二部 韓國語 漢字語 教育
第5章 臺灣人 學習者의 漢字語 誤謬 1. 서론 2. 선행 연구 2.1 어휘 오류 연구 2.2 한자어 오류 연구 3. 자료 및 분류 방법 3.1 자료 출처 3.2 분석 대상 3.3 오류 유형 분류 방법 4. 어휘적 오류 유형 4.1 모어와의 의미 차이 4.2 문체 차이 4.3 유의 관계 4.4 모어 전이 4.5 연어 관계 5. 문법적 오류 유형 5.1 형태론적 오류 5.1.1 조어법 5.1.2 굴곡 5.2 통어론적 오류 5.2.1 자타(피동/사동)구문 5.2.2 ‘이다’구문 6. 오류 유형에 대한 분석 6.1 어휘적 오류 6.2 문법적 오류 6.3 한중어휘대조의 한자어 유형과 한자어 오류 7. 결론
第6章 中國語圈 學習者 對象 漢字語 硏究 動向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절차 3. 연구 동향 분석 3.1 연도별 3.2 출판 유형별 3.3 주제별 3.3.1 한중 대조 3.3.2 한자어 교육 3.3.3 한자어 오류 4. 향후 과제 5. 결론 附錄 <韓‧中 同形語의 쓰임 對應表>